[그래픽뉴스] 수에즈 운하<br /><br />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최단 거리 뱃길인 수에즈 운하를 가로막았던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좌초 7일 만에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마비됐던 수에즈운하 통행도 재개됐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최단 항로인 수에즈는 이집트의 시나이반도 서쪽에 건설된 세계 최대의 운하입니다.<br /><br />길이 193.3km, 최소 폭 200미터의 이 좁은 길로 전 세계 해상 화물의 12%가 지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지중해와 홍해, 인도양을 잇는 수에즈운하는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하지 않고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통로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초대형 컨테이너선인 에버기븐호가 수에즈운하에서 좌초된 건 지난 23일이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에서 출발해 네덜란드로 향하던 에버기븐호가 수에즈운하를 막으면서 이곳을 지나려던 수백 척의 선박들은 발이 묶였습니다.<br /><br />26일부터 에버기븐호를 빼내기 위해 제방과 배 밑쪽을 파냈고 다음 날인 27일, 14대의 예인선을 투입해 선체의 방향을 바꾸는 시도를 했습니다.<br /><br />28일부터 18미터 깊이까지 땅을 파내면서 해수면이 가장 높은 만조인 29일, 완전 부양에 성공했습니다.<br /><br />에버기븐호는 지난 23일, 수에즈 운하 남쪽 입구로부터 6km 북상한 지점에서 좌초됐습니다.<br /><br />폭이 270여 미터에 불과한 수로 양쪽 제방을 길이 400미터, 폭 59미터의 22만 톤급 세계 최대 규모 컨테이너선이 가로막게 된 건데요.<br /><br />이렇게 뱃길이 막히면서 운하 주변에 대기한 선박이 최소 369척에 달해 국제 물류 운송에도 차질이 빚어졌습니다.<br /><br />수에즈운하의 통행이 일주일간 막히면서 생긴 손해도 막대한데요.<br /><br />글로벌 물류 시장은 수송 지연으로 시간당 약 4,500억 원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산되고 해운 산업 전체 피해가 매일 10조 원을 넘어섰다는 통계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대기 선박이 모두 운하를 통과하는데 일주일 가령 더 소요될 거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수에즈운하가 막히면서 일부 선사들은 남아프리카 노선 거리가 9,650㎞나 늘어나는 남아공 희망봉을 돌아 운항하는 우회로를 택하면서 막대한 연료비 등을 감당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이집트 정부도 하루 160억 원에 이르는 선박 통행료를 받지 못한 손실을 입게됐죠.<br /><br />좌초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책임 소재를 두고 국제적인 논쟁도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모래폭풍 등 자연재해냐, 운항 미숙, 혹은 엔진 고장 등 선체 결함이냐에 따라 이집트 정부, 대만 선사, 일본 선주 측에 각각 배상 책임이 돌아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